[io-edition No. 5]

“카스파 / Kaspar”

by PETER HANDKE
Korean Translation, Book design and Paratexts by Lappiyul

Limited Edition of 800


무언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다른 무언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Etwas ist unmöglich geworden: etwas anderes ist möglich geworden:


이 극은 1828년 독일 뉘른베르크 시에 나타났던 실존 인물 “카스파 하우저”의 일대기에서 영감을 받아 집필되었다. 그는 16년을 칠흑 같이 어두운 방에 홀로 갇혀, 언어 없이 살(아남)았고, 그 존재를 단 5년 반 동안 세상에 드러내고 의문의 죽음을 맞았다. 신학자, 의사, 교육학자, 언어학자, 법학자 등의 연구 대상이자, 수많은 예술가들에겐 인간 본질에 대한 다양한 역설적 모티브가 되어준 그는, 언어를 통해 의식과 질서를 배우는 기계처럼 살다 갈비뼈 사이에 칼이 꽂혀 죽었다.

언어극 “카스파 / KASPAR”는
오스트리아의 대표적인 작가 “페터 한트케”가 1968년에 출판한 꽤 초기 작품에 속하며, 그가 기존 연극을 거부하기 위해 제시한 “언어극”의 다섯 번째 작품이다. 이 극은 19세기에 실존했던 “카스파 하우저”란 인물에서 영감을 받았으나, 작가는 서문에 카스파 하우저가 “실제로 어떻다” 혹은 “실제로 어떠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게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해두었다.

“이 극은 누군가에게 무엇이 가능한지를 보여준다. 어떤 사람이 어떻게 말을 통해 말을 하게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 극을 “언어고문”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페터 한트케, <카스파> 서문 중)

실로 카스파 하우저에 대해 전혀 모르더라도 이 극의 사건, 즉 어느 한 인물이 어떻게 언어를 통해 말을 할 수 있게 되고, 사물을 비교하게 되고, 질서를 의식하게 되며, 동시에 어떤 식으로 자기 정체성을 강요받고, 스스로 그것을 인식하고 저항하는지 등, 작가가 말한 “언어고문” 과정을 따라가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생각할 틈도 쉴 새도 없이, 서너 명의 목소리들(“언어주입자들”)이 카스파에게 문장들을 주입한다. 문장들은 문법적으로 패턴화되어 있고, 카스파는 그 안에 다른 (무작위적으로 보이는) 단어들을 (마치 유연한 프로그램인 양) 다양하게 끼워 넣음으로써 반복적으로 변주한다. 그 안에서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고 무의미해 보인다. 격언이나 경구같이 들리는, 수많은 단정적인 문장들과 상투어들도 거의 대부분은 진정한 의미를 생산해내지 못한 채 공허하기만 하다. 남는 것은 언어의 폭력성, 언어의 한계, 질서의 한계, 어떠한 질서가 필요로 하는 의식의 부조리뿐이다.

이 극의 제목은 “카스파”지만, 이 극의 주인공은 “언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서 문장들을 – 말하거나, 소리내어 – 읽는다는 것은 곧 이 언어를 작동하게 만든다는 것이며, 그러면서 이 언어의 행위를 읽는다는 것이다. (역자후기 중)


페터 한트케(Peter Handke)
우리에겐 <관객 모독>으로 잘 알려진 그는 1942년 오스트리아 캐른텐 주의 그리펜(Griffen)에서 태어났다. 원래는 그라츠에서 법학을 공부했으나, 1965년 <말벌들>이란 소설을 권위 있는 주르캄프 출판사가 출간하겠다고 하자 바로 학업을 중단하고 작가의 길을 걸었다. 그가 얼마후 미국 프린스턴에서 개최된 “47그룹”의 심포지엄에 참여해, 토론 과정 중 이들을 비롯한 기존 문학에 맹렬한 공격을 퍼부은 일화는 그를 소개할 때 빠지지 않는다. 그로써 그는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47그룹”은 하인리히 뵐이나 귄터 그라스 같은 쟁쟁한 문인들과 비평가들이 모여 있던 참여문학 내지는 신사실주의 단체였다. 이 모임에서는 낭독과 작품 자체에 대한 논의에 초점이 맞춰지고, 문학의 본질에 대한 토론은 은연중 금기시되고 있었는데, 그 분위기를 한트케가 깬 것이다. ​ 그의 요지는 문학은 언어로 만들어지는 것이지, 그 언어가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대상들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 바로 그 해에 출간된 <관객 모독>과 2년 후 출간된 <카스파>는 그가 “언어극”이라는 형식을 통해 기존의 문학적/연극적 형식과 내용을 거부하고 시도한 실험이 하나의 도전으로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는 쉴러 상(1972), 게오르그 뷔흐너 상(1973) 등 그야말로 무수한 상을 받았다. <관객 모독>, <카스파> 같은 희곡 외에도, <소망 없는 불행>, <페널티킥 앞에 선 골키퍼의 불안>,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 <반복>, <어느 작가의 오후> 등 여러 소설과 산문, 시 등을 발표했고, 영화감독 빔 벤더스의 <베를린 천사의 시>의 시나리오를 쓰기도 했다.

 

구매정보: 이오-에디션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