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테질레아 / Penthesilea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 Heinrich von Kleist

<펜테질레아> 는 200년 전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가 그리스 신화에서 모티브를 취한 비극이다. 이야기는 트로이 전쟁에 갑작스럽게 끼어든 아마존 여전사들로 인한 그리스인들의 혼란을 보고하면서 시작된다. 그로 인해 남자 대 남자의 영웅적인 전투여야 할 이 전쟁엔 제동이 걸리고, 어쩌다 사람들은 아마존의 여왕 펜테질레아가 그리스의 영웅 아킬레스에 대한 사랑에 빠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전쟁이라는 어떤 전체적인 조망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문화적 차이, 언어의 불확실함, 실재와 환영의 불일치 속에서, 이 두 사람의 진정한 만남은 벌어지지 않고, 계속 회오리치며 질주하는 클라이스트적 언어 위에서 미끄러지기만 한다. 결국 펜테질레아는 이 불가능한 만남의 시도를 아킬레스를 갈기갈기 찢어버림으로써 마무리하고, 스스로 언어의 단도를 만들어 자신의 가슴에 찌른다.

Heinrich von Kleist hat vor 200 Jahren nach seiner Beschäftigung mit den griechischen Mythen dieses Trauerspiel “PENTHESILEA” geschrieben. Es beginnt mit dem Bericht der Griechen über die Verwirrung durch die Amazonen, die sich urplötzlich in den Trojanischen Krieg eingemischt haben. So wird der Krieg gebremst, der eigentlich ein heroischer Kampf von Männer gegen Männer sein sollte, und man erfährt, dass die Amazonenkönigin Penthesilea in den griechischen Helden Achill verliebt ist. Aber in dem Krieg, der einen Überblick unmöglich macht, wird die wahre Begegnung der Beiden, durch kulturelle Unterschiede, in der Unklarheit der Sprache und Diskrepanz zwischen Sein und Schein, und auch in der wirbelnd rasenden kleistischen Sprache, immer weiter verschoben. Letztendlich vollbringt doch Penthesilea diese unmögliche Begegnung durch eine Zerfleischung des Achills und sticht sich dann selbst einen Dolch der Sprache in ihre Brust.

 

with 

장홍석/Jang Hong-Seok, 전우열/Chun Woo-Yeol, 박연/Park Yeon, 마뇨/Manyo, 박은정/Park Eun-Jung, 임보라/Im Bora (Piano)

 

<펜테질레아>는 2011년 5월말~6월초 이화여대와 문래예술공장에서 14일간 개최된 한독교류 워크숍 <펜테질레아>를 초석으로, 본격적인 작업과정을 거친 후, 뉴웨이브 공연예술축제 <NArT 페스티벌 場>에 초대되어 초연되었다.

Review (Kr.)
분절된 텍스트들, ‘전쟁의 소용돌이 속 사랑의 파국’ (김민관) 

Documentation Book  (Kr. + De.)
l
l:불발탄:ll
ll:BLINDGÄNGER:ll
 
about
the german-korean exchange workshop “PENTHESILEA”:

 

 


Namsan Arts Center, 18.-20. Nov. 2011

Supported by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Goethe-Institut Seoul
Botschaf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in Seoul